장미선
- 연구분야
- 주거행태계획
- 전화번호
- 063-270-3834
- 이메일
- msjang@jbnu.ac.kr
- 홈페이지
- 담당강의
- 단독주택설계, 제도및공간표현, 공간심리행태학, 특수계층과주거, 디자인포트폴리오, 졸업작품
- 연구실
- 생활과학대학 503호
학력 및 경력
2022 – 현재 전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부교수
2020 - 2022 전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조교수
2022 – 2024 국토교통부 주거정책심의위원회 위원
2022 – 2024 제13대 전라북도 건축경관 통합위원회 위원
2020 - 현재 (사)한국실내디자인학회 이사, 논문편집위원
2018 - 현재 (사)한국주거학회 주거복지사위원회 위원
2019 - 현재 (사)한국주거학회 학술이사, 총무이사, 논문편집위원
2017 - 2020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전문위원
2015 - 2017 연세대학교 연구교수
2013 Oxford University, Oxford Institute of Population Aging, Junior Academic Visitor
2005 - 2006 명성인토피아, 실내디자이너
2005 이웨이, 실내디자이너
2001 - 2003 조일디자인, 실내디자이너
2014 University College London, Spatial Design, Master of Research
2013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현 실내건축학과) 박사
2006 연세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 석사
2001 건국대학교 건축공학과 학사
담당과목
단독주택설계(Residential Design)
제도및공간표현(Space Drawing Practice)
공간심리행태학(Housing Planning for Special Need Groups)
특수계층과 주거(Spatial Psychology & Behavior)
디자인포트폴리오(Design Portfolio)
졸업작품(Integrated Graduation Project)
주요 수상실적
2022 JBNU Best Teacher Award 대상
2022 (사)한국주거학회 우수논문상
주요 연구목록
공공임대주택의 공급이 미혼 청년 가구의 주거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결혼 의지에 미치는 영향. 2023.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4(2), 43-54. (교신)
청년1인가구의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공간개선요구. 202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2(2), 27-34. (제1)
고령친화 욕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행동과학적 지식배경 확장연구. 202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2(2), 96-108. (교신)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interaction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nursing homes. 2023.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22(1), 175-187. (단독 / A&HCI)
건강한 노화를 위한 노인주택 실내환경 성능평가 도구 개발. 2022.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3(6), 37-47. (제1)
청년가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관련 지표에 관한 연구. 2022.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3(5), 9-16. (제1)
공공임대주택 활용 사회서비스 통합지원 플랫폼 조성 사례 분석. 2022.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3(5), 65-75. (제1)
Kirpatrick의 교육평가모델을 활용한 낙상예방교육의 효과. 2022.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3(3), 61-69. (교신)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에 대한 국내 선행 연구의 경향 분석. 2022.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33(1), 151-159. (교신)
코로나19 발생에 따른 청년 1인가구의 주생활행위 변화. 2021.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32(6), 81-90. (교신)
자녀의 수가 가구의 주거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2021.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30(4), 29-36. (제1)
CPTED 적용 의무화 이후 건설된 공동주택 단지의 CPTED 적용현황 분석. 2021.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30(2), 39-48. (교신) )
노인가구와 예비노인가구의 주거지원정책 요구 차이. 2020.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8(3), 79-88. (단독) )
Perceived effects of home renovation on independence of physically disabled Koreans living at home. 2018.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40(20), 2380-2387. (Corresponding) [SSCI])
영구임대아파트 거주자의 주거비 부담에 따른 적정 주택규모. (2018).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9(2), 55-62. (제1))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청년층의 에너지효율주택 선택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7(5), 131-137. (교신))
고령자 주택개조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 경향.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6(1), 25-32. (공동) )
국외 요양시설 디자인가이드라인에 나타난 치유성능 연구.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6(1), 43-52. (공동) )
Housing quality, health and fuel poverty among U.S. seniors. 2017. Indoor and Built Environment 26(7), 951-963. (Corresponding) [SCIE])
재가지체장애인의 자립을 저해하는 농촌과 도시의 주거실내환경요소에 대한 비교연구. 20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5(1), 132-141. (공동) )
공모전 수상작 사례분석을 통한 지원주택의 공간특성 분석. 20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5(4), 125-134. (교신))
The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on home renovation for fall prevention of Korean older people. 2015. Educational Gerontology 41(9), 653-669. (First) [SSCI])
지체장애인 맞춤형주택 디자인가이드라인의 사용자혜택 분석. 2015.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6(6), 93-102. (교신))
연구 프로젝트 / 디자인 프로젝트
2023 – 2026 Aging in Place를 위한 서비스 제공 플랫폼으로서 공공임대주택 활용방. 연구책임. 한국연구재단
2022 – 2025 융합학문기반 고령친화주거디자인 AI지원시스템. 공동연구원. 한국연구재단
2022 – 2023 LH주거생활서비스 중장기 발전방안 수립연구. 공동연구원. LH공사
2021 – 2024 청년 및 신혼부부 주거정책이 삶의 질과 결혼-출산의 결정 및 이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책임. 한국연구재단
2021 – 2024 건강한 노화 관점에서 본 서비스지원노인주택의 실내환경성능평가 및 개선방안 도출. 연구책임. 한국연구재단
2021 – 2022 주거-사회서비스 통합지원을 위한 연계모델개발. 공동연구원. LH공사.
2021 학령인구감소에 따른 지역대학 유휴공간 활용을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 공동.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20 고령자 주택개조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연구책임. 민간기업.
2016 - 2017 기존 공공임대주택을 활용한 고령자 지원주택 모델 개발. 연구책임. 한국연구재단.
2015 - 2017 BK21플러스 고령친화 생활공간시스템 전문인력 양성팀. 공동연구원. 한국연구재단.
2015 - 2017 주거복지 구현을 위한 정책기반 구축 및 주거환경 개선기술 개발. 공동연구원. 국토교통부.
2011 - 2013 전주 테스트베드 기법 적용연구. 연구원. 국토교통부.
2010 - 2013 우수공학연구센터(ERC) 지속가능 건강건축연구센터, 한국연구재단
주요 저·역서
주요어를 통해 본 실내디자인학의 성장과 토대. 2022. 맑은샘.
주거환경조사론. (주)이테시스.
장애인가구 맞춤형 주택계획 가이드라인.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지식재산권 실적
주요 전시 실적
공공임대주택의 공급이 미혼 청년 가구의 주거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결혼 의지에 미치는 영향. 2023.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4(2), 43-54. (교신)
청년1인가구의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공간개선요구. 202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2(2), 27-34. (제1)
고령친화 욕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행동과학적 지식배경 확장연구. 202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2(2), 96-108. (교신)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interaction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nursing homes. 2023.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22(1), 175-187. (단독 / A&HCI)
건강한 노화를 위한 노인주택 실내환경 성능평가 도구 개발. 2022.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3(6), 37-47. (제1)
청년가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관련 지표에 관한 연구. 2022.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3(5), 9-16. (제1)
공공임대주택 활용 사회서비스 통합지원 플랫폼 조성 사례 분석. 2022.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3(5), 65-75. (제1)
Kirpatrick의 교육평가모델을 활용한 낙상예방교육의 효과. 2022.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3(3), 61-69. (교신)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에 대한 국내 선행 연구의 경향 분석. 2022.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33(1), 151-159. (교신)
코로나19 발생에 따른 청년 1인가구의 주생활행위 변화. 2021.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32(6), 81-90. (교신)
자녀의 수가 가구의 주거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2021.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30(4), 29-36. (제1)
CPTED 적용 의무화 이후 건설된 공동주택 단지의 CPTED 적용현황 분석. 2021.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30(2), 39-48. (교신) )
노인가구와 예비노인가구의 주거지원정책 요구 차이. 2020.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8(3), 79-88. (단독) )
Perceived effects of home renovation on independence of physically disabled Koreans living at home. 2018.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40(20), 2380-2387. (Corresponding) [SSCI])
영구임대아파트 거주자의 주거비 부담에 따른 적정 주택규모. (2018).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9(2), 55-62. (제1))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청년층의 에너지효율주택 선택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7(5), 131-137. (교신))
고령자 주택개조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 경향.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6(1), 25-32. (공동) )
국외 요양시설 디자인가이드라인에 나타난 치유성능 연구.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6(1), 43-52. (공동) )
Housing quality, health and fuel poverty among U.S. seniors. 2017. Indoor and Built Environment 26(7), 951-963. (Corresponding) [SCIE])
재가지체장애인의 자립을 저해하는 농촌과 도시의 주거실내환경요소에 대한 비교연구. 20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5(1), 132-141. (공동) )
공모전 수상작 사례분석을 통한 지원주택의 공간특성 분석. 20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5(4), 125-134. (교신))
The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on home renovation for fall prevention of Korean older people. 2015. Educational Gerontology 41(9), 653-669. (First) [SSCI])
지체장애인 맞춤형주택 디자인가이드라인의 사용자혜택 분석. 2015.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6(6), 93-102. (교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