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housecbs@jbnu.ac.kr / 연구실 : 063-270-3840
학력 및 경력
- 1986. 연세대학교 주생활학과 학사
- 1988. 연세대학교대학원 주거환경학과 석사
- 1995. 연세대학교대학원 주거환경학과 박사
- 1996 ~ 1999.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주임연구원
- 1999 ~ 2000. 한남대학교 건축공학과 post-doc
- 2000 ~ 2003 한남대학교 건축공학과 시간강사
- 2004 ~ 2008. 농림부 체험마을 주거환경분야 자문위원
- 2004 ~ 현재.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주거환경학과 교수
- 2004 ~ 현재. 농촌건축학회 이사
- 2007 ~ 현재. 전북주거복지센터 자문위원
- 2008 ~ 2009. School of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방문교수
- 2010 ~ 2013. 농어촌공사 연구과제 및 농어촌주택표준설계도 자문위원
- 2016 ~ 현재. 한국주거서비스 소사이어티 이사
- 2017 ~ 2021 농림축산식품부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생활권기반 분과위원회 위원
- 2019 ~ 2021. 민간임대주택 주거서비스인증 LH 심사위원
- 2019 ~ 2020. 한국주거학회 학술부회장
- 2020 ~ 현재. 한국주거학회 주거복지사자격검정사업단장
담당과목
- 실내디자인원론 (Principles of Interior Design)
- 주거공간과시장조사(Housing & Market Research)
- 서양주거와실내양식(Western House and Interior Style)
- 주거복지(Housing Welfare)
- 인테리어와공간심리(Interior Design & Environmental Psychology)
- 주거단지및커뮤니티계획(Design of Multi-family Housing Complex & Community)
- 졸업작품(Graduation Project)
주요 수상실적
논문발표
학술발표
(2023). 공공공간 이용의 행복 증진의 물리적 환경 계획시 적용 가능한 유니버설디자인 특성.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23). 매입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서비스 요구.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23). 시선 추적 기법을 활용한 전통주택과 현대주택에 대한 대학생의 관심도 분석.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23). 대학생이 생각하는 인구이탈 방지와 유입을 위한 주거방향성의 탐색.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23). 전주시 연탄사용가구의 가구특성과 주거실태에 기초한 주거정책 제안.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23). 주택에서의 주거행복감 증진을 위한 거주자의 생활탐색.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23). 주시특성 분석으로 본 원룸 부엌 공간에 대한 청년의 관심도.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2022). 덴마크 노인 생활공동체 사례분석.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22). 고령자 주거모델 개발을 위한 사례분석.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22). 청년층 1인 가구의 수요맞춤형 주거공간 기획을 위한 경험 주거유형과 이에 따른 선호 주거가치와 주거규범 분석.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22). 중국 유학생의 시각에서 본 자국의 스마트홈 기술에 대한 수용가는성 연구.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22). 제3섹터가 공급한 서울시 사회주택의 공동공간이 갖는 가치.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22). 청년 1인가구의 원룸 주방공간의 개조 전후의 행복감 비교에 관한 연구 설계.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22). 중국유학생의 아파트 주거만족도 조사 평가 분석과 중국 아파트 곱급시장의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2022). 주거행복감의 정체성 요인이 거주자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2021). 공유부엌 사례로 본 주거서비스 활성화. (사)동아시아식생활학회 춘계심포지엄.
(2021). 사회주택의 사회적 가치측정을 위한 지표 개발.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21). 공공임대주택 주거생활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21). 중국 선전시 보장성안거공사가 공급한 주거단지의 온라인 정보로 본 소셜 믹스.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21). 청년대상 주거행복감 측정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21). 노후주택 개보수에 관한 진단 지표 개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2021). 주거관리 지원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일반인과 장애인 사용성 평가 비교.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2021). 주거서비스 품질평가체계 개발을 위한 기존 평가도구 고찰.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2021). 주거유형에 따른 행복감의 차이를 통해 본 주거디자인 요소.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2021). 썸트렌드로 분석한 코로나 19전후 SNS주거관련 키워드 트렌드 변화.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2021). 인도네이사의 건축 부동산 온라인 정보에 제시된 KOST 단위주택의 내용분석.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2021). 중국 녹색건물인증 공동주택의 웹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소비자 정보 분석.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2021). 중국 하남성 토속주거건축에 관한 거주자 평가.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2021). 집이라는 환경이 주는 행복감. 추계공동학술대회 가정과삶의질학회.
(2020). The Happiness of Korean Housing Environment Focused on PERMA theory. IAPS2020.
(2020). 장애인 가구를 위한 주거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의 기초 연구.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20). 오늘의 집 앱을 중심으로 1인가구의 인테리어 트렌드 분석.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20). 밀레니얼 세대의 신혼부부와 주거트렌드.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20). 장애인 가구의 주거관리 지원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평가.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최병숙, 박정아, 이진(2020). Happiness Measurement Items developed from Residential Environment Evaluation and PERMA Theory. IAPS 2020.
최병숙, 박정아, 이진(2020). 거주자가 느끼는 주택과 동네의 행복요인.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최병숙, 은난순, 오수훈(2019). 장애인 거주주택의 주거관리서비스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지방자 치단체와 지역민간사업자의 주거관리서비스 현황분석.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최병숙, 박정아(2019). 고령사회에서 독거노인의 지역사회 주거서비스 공간으로 살롱의 의미와 역할.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최병숙, 박정아(2019). 문헌분석에 기초한 자연발생 노인 커뮤니티의 주거서비스 항목 도출. 한국주거 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은난순, 최병숙, 오수훈(2019). 장애인 가구의 주거관리서비스 요구와 지역사회 자원 분석. 한국주거학 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최병숙, 은난순, 오수훈(2019). 장애인 가구를 위한 지역사회 기반 커뮤니티 공간과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최병숙, 박정아, 나스타란 마홀로지(2019). 행복을 주제로 한 일본의 주거환경 디자인 사례 분석. 한국 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최병숙, 박정아(2019). Seligman's PERMA 이론에 근거한 주거환경의 행복감 측정 개념.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최병숙, 박정아, 이진(2019). Elements of happiness that Koreans feel at home environment. Positive Psychology and Happiness 2019.
최병숙, 박정아, 이수현(2018). 최근 3년간 행복주거와 관련된 온라인 신문기사 분석. 한국주거학회 추 계학술발표대회.
최병숙, 박정아, 나스타란 마홀로지(2018). 행복을 주제로 디자인된 일본의 17사례 주택에 대한 심리적 요인 평가.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최병숙, 박정아, 나스타란 마홀로지(2018). 행복을 주제로 한 한국의 주택디자인 12사례에 대한 심리적 요인 평가.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최병숙, 박정아, 나스타란 마홀로지(2018). 행복을 주제로 디자인된 일본과 한국의 주택디자인 사례에 대한 심리적 평가 비교.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나스타란 마홀로지, 최병숙(2018). 환경적 행복과 뇌신경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 표대회.
김정태, 배현표, 최병숙(2018). A Remdeling Project on Vacant Row Houses into Social Housing for Multi-families in palbok-Saeduel Village of Jeonju City, S.Korea. 25th IAPS International Association PEOPLE-ENVIRONEMNT STUDIES Conference.
최병숙, 박정아, 김은영(2018). Elderly's Needs on Housing Environment Support based on NORCs in Aged Society of S. Korea. 25th IAPS International Association PEOPLE-ENVIRONEMNT STUDIES Conference.
최병숙, 박정아, 김은영(2018). Place attachment among the aging population living in Seoul, South Korea. 25th IAPS International Association PEOPLE-ENVIRONEMNT STUDIES Conference.
최병숙, 박정아(2017). 도시지역 아파트 거주노인들의 자연발생 노인커뮤니티 현상 탐색: 서울시 노원 구 아파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최병숙, 박정아, 김은영(2017). Analysis on the Physical Housing Environments of the Potential Naturally Occurring Retirement Communities of Condominium Apartment House in Seoul city of S. Korea. EDRA48.
최병숙, 김수림, 박정아, 김은영(2017). Social housing for Korean young households as alternative for public affordable housing. EDRA48.
정하진, 최병숙(2017). 최근 아파트를 중심으로 본 가족친화 커뮤니티 시설에 관한 특성 분석. 한국주 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비비시하시데르, 최병숙(2017). 몽골 올란바타르시의 게르촌 주거환경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 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나스타란마홀로지, 최병숙(2017). 주거의 질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모델 고찰. 한국주거학회 추계학 술발표대회.
최병숙 외(2016). 소통 중심 컨셉으로 대학 강의실 환경개선에 따른 학생 만족도. 한국생활과학회 동계 학술발표대회.
최병숙 외(2016). Housing needs of zero-rent renter households in Jeonju, South Korea. IAPS24 Lund.
최병숙, 박정아, 김수림(2016). 도시지역 아파트 거주노인들의 자연발생 노인커뮤니티 현상 탐색. 한국 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이현정, 최병숙(2015). Housing Challenges of Very Low-income Households Reflected in the 2012 Korea Housing Survey. 2015APNHR.
맹상위, 최병숙(2015).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Apartment through Internet Advertisement: Internet Apartment Advertisement of Qingdao, 2014. 2015APNHR.
최이비, 최병숙, 장리리(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Trend of the Condominium Apartment Plan in Suzhou, China. 2015APNHR.
최병숙 외(2015). Elements of Community Vitalization Used in Village Making Projects in Korean Rural Areas. EDRA46_LosAngeles
최병숙 외(2015). Pilot Study on Group Homes for Socially Disadvantage Class of Elderly in Rural Area, S. Korea. EDRA46_LosAngeles.
최병숙 외(2015). A Case Study on Group Home for Korean Elderly Women. EDRA46_LosAngeles.
연구 및 디자인 프로젝트
- 2020년.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개발 및 개선사업(공동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2019년. LH 주거생활서비스 품질평가시행(공동연구. LH)
- 2019년. 공공임대주택 주거복지 전문인력배치 시범사업 평가 연구(공동연구. 국토교통부·LH)
- 2019년. LH주거생활서비스 품질평가체계 개발(공동연구. LH)
- 2019년. 경상북도 인구유입을 위한 청년 공유주택 도입연구(공동연구, 경북행복재단)
- 2018년. NCS 및 활용패키지 개발(세분류: 주거서비시지원)(공동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 2018년 ~ 현재. 장애인 가구를 위한 신개념 주거모델 및 ICT기반 주거관리 기술 개발(공동연구기관 책 임연구.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2018년. 청년민간임대주택 셰어하우스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연구(공동연구. 국토교통부)
- 2018년. 아파트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주거서비스 운영매뉴얼 개발(공동연구. 대우푸르지오)
- 2018년 ~ 현재.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주거환경 가이드라인 개발(책임연구. 한국연구재단)
- 2017년. 신규 주거서비스 개발 연구: 주거생활서비스를 중심으로(공동연구. LH)
- 2016년 ~ 2017년. 주거서비스의 NCS설정을 위한 분류체계 개발 연구(공동연구. LH)
- 2016년. 2016 K-water ‘행복가득水’ 프로젝트 만족도 조사(책임연구. 사회적협동조합 한국에너지복지 센터)
- 2013년 ~ 2014년. 전주시 주거복지 실태조사 용역(책임연구. 전주시)
- 2013년 ~ 2013년. 주거복지사 제도 도입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공동연구. 국토교통부)
- 2013년 ~ 2013년. 농촌 주택정책 전략과 실천과제 도출 연구(책임연구. 농림축산식품부)
- 2011년 ~ 2013년. 주거의 질과 정신건강 관계로 본 건강한 주거수준(책임연구. 한국연구재단)
- 2010년 ~ 2012년. 마이크로 버블 이용 고령친화 감성욕조시스템 개발(공동연구. 중소기업기술개발지 원)
- 2008년. ‘집’을 중심으로 본 미국인의 장소애착(책임연구. 전북대 지원)
- 2007년. 가족내 여성의 역(力)관계 변화로 인한 주거내부공간 구조의 변화(책임연구. 학술진흥재단 기 초연구지원).
- 2007년. 대전 서남부 지구 14블럭 공동주택 신축사업 시장조사(공동연구. (주)피데스개발 지원).
- 2006년. 주민상호케어 시스템 유형별 기본 계획 및 평가(농어촌연구원 용역).
- 2005년. 고령화 농촌마을 노인주거・복지 요구에 의한 복지증진 방안 연구: 지역사회 부양보호 시스템 과 주거개선을 위한 실내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책임. 농어촌연구원 용역).
- 2004년.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농촌 주택의 평면적 특성에 대한 아파트 주거의 영향(연구책임. 전북대 지원)
- 2003년. 직장여성을 위한 방과후 아동 보육시설의 건축적 모형 개발(책임연구. 과학재단 지원 연구비).
- 2002년. 수자원공사 직장어린이집 기본 기획 설계(공동연구. 수자원공사).
- 2002년. 대전시 전원유치원 실외놀이환경 기본 계획 설계(공동연구. 전원유치원).
주요 저•역서
- (2022).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주거환경 가이드라인 집으로 이루는 행복. 꿈인
- (2022). 대전의 집: 주택과 주거문. 대전광역시 역사편찬위원회.
- (2021). 장애인 가구와 함께 사는 신개념 주거모델을 위한 주거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0). NCS학습모듈 주거서비스 지원(13권, 9명 집필)_ 10권 노후주택 개량 지원 집필. 교육부.
- 공저 (2020). 주거서비스 인사이트. 박영사
- 공저 (2019). 주거복지총론(개정판). 이테시스.
- 공저 (2019). 주거복지 실무와 적용(개정판). 이테시스
- 공저 (2018). 아파트 공동체 상생을 생각하며. 박영사.
- 공저 (2010). 2010 일본 농촌과 건축물의 이용 답사. 사단법인 한국농촌건축학회.
- 공저 (2002). 보육시설공간디자인. 창지사.
- 공저 (1991). 리빙인테리어 2000(7) : 자작실례 151.인테리어 용어사전. 중앙일보사.